반응형

 

dig 옵션 및 사용법

 

● dig (domain information groper) ?

DNS 네임서버에 쿼리를 보내기 위한 유용한 툴로서 DNS lookup 과 쿼리를 보낸 네임서버로부터 돌아오는 응답을 출력하게 됨

dig의 유연하고 편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DNS 관리자들은 DNS장애 시 troubleshoot 를 위해 dig를 사용

 

※[명령어 사용법] dig [@server domain] [query-type] [query-class]

 

@server : 질의를 하고자 하는 DNS 서버로 만약 name server를 명시하지 않으면 시스템의 resolv.conf 에 있는 네임서버에 query를 시도

domain : 질의 대상 도메인 또는 도메인호스트 이름

type : 질의에 사용할 Resource Record 타입

 

● query-type

a : 도메인의 아이피 정보 ( network address )

any : 지정된 도메인의 모두/임의의 정보

mx : mail exchanger 정보

ns : name server 정보

soa : Zone 파일 상단의 authority 레코드

hinfo : host 정보

axft : zone transfer ( authority를 갖는 특정 네임서버에 질의 )

txt : 임의의 수의 캐릭터 라인 (arbitrary number of strings)

zone transfer : 해당 도메인의 zone에 대한 복사본을 얻기 위해 primary 로부터 zone 데이타베이스를 끌어오는 작업

 

query-class  ?

: query network class 부분(확인하고자 하는 도메인), 생략하면 in  default(in = internet )

in : 인터넷 클래스 도메인 (internet class domain)

any : 모든 클래스 정보 (all/any class information)

zone transfer : 해당 도메인의 zone 에 대한 복사본을 얻기 위해 primary 로부터 zone 데이타베이스를 끌어오는 작업

 

● dig 옵션

-b : source IP를 다른 IP로 설정

-f : batch 모두 동작시 파일이름을 지정

-m : debugging

-p : 53 이외의 포트번호를 지정

-4 or -6 : IPv4 또는 IPv6 강제 지정

-t : Type를 지정

-c : Class 지정

-x : reverse lookup

+tcp : TCP 프로토콜 사용

+trace : delegation path 추적

+short : Answer Section 결과만 표시

+comments : Comments Section 표시

+question : Question Section 표시

+answer : AnsWer Section 표시

+authority : Authority Section 표시

+additional : Additional Section 표시

+stats : Statistics Section 표시

+all : Comments부터 Statistics Section 모두 표시

+multiline :  record를 여러 줄로 보기 좋게 표시

 

 출력 내용

쿼리에 대한 결과를 ANSWER SECTION에 출력

해당 도메인의 인증을 갖는 네임서버 정보를 AUTHORITY SECTION에 출력

글루레코드 등이 있을 경우 그에대한 정보를 ADDITIONAL SECTION에 출력

 

 

도메인주소를 입력하면 /etc/resolv.conf에 등록된 네임서버를 이용하여 도메인을 조회

 

 

 

도메인주소를 특정 네임서버를 통해 조회

 

 

요청한 도메인의 대한 전 과정을 추적한 결과 조회

 

 

지정한 도메인의 메일서버 정보 조회

 

 

 

 

nslookup 옵션 및 사용법

 

 

● nslookup 이란 ?

name server 관련한 조회를 할 수 있는 명령어

서버의 네트워크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도 사용

 

 명령어 사용법

nslookup [-type = record] DomainName DNS server

 

nslookup 명령어 뒤에 도메인을 지정(기본 사용법)

 

 

● 옵션

SRV : 정방향

PTR : 역방향

CNAME : 실제 또는 정식 도메인 이름에 별칭 이름을 매핑하는 DNS 레코드

 

 

aaaa : IPv6를 의미

 

MX : 메일서버

 

NS : 네임서버

 

 

SOA : 마스터네임서버

 

 

 

txt : 텍스트

 

IP로 domain name 을 찾는 기능

 

 

외부의 DNS를 지정해서 조회

 

whois 란 ?

 

도메인 이름의 소유자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명령어

해당 도메인 이름이 이미 다른 사람에 의해 사용중인지 확인하는 용도로 많이 쓰임

도메인 주소와 네트워크 블록 단위 IP 주소를 검색할 때 유용

 

 명령어사용법 : whois [옵션] [QUERY]

 

 

● 옵션

 

-v, -verbose 자세한 디버그 출력

 

-c FILE, -config : FILE FILE을 구성 파일로 사용함

 

-h 호스트, -host : HOST 명시 적 호스트 쿼리

 

-n, -no-redirect : 콘텐츠 리디렉션을 사용하지 않음

 

-a, -raw : 쿼리의 형식을 다시 지정하지 않음

 

-i, -display-redirections : 모든 리다이렉션을 숨기는 대신 표시

 

-p PORT, -port : PORT 포트 번호 PORT 사용 (HOST와 함께 사용)

 

-r, -rwhois : 강제 및 rwhois 쿼리를 작성

 

-Rwhois-display : rwhois 쿼리에 표시 옵션을 설정

 

-Rwho-limit : 반환 할 일치 항목의 최대 수를 설정

 

 

domain 주소로 검색

 

 

● 내용

 

Domain Name : 도메인 네임

 

Registry Domain ID : 레지스트리 도메인 아이디

 

Registrar WHOIS Server : 레지스트리 whois 서버

 

Registrar URL : 레지트스티 URL

 

Updated Date: 업데이트 날짜

 

Creation Date : 만들어진 날짜

 

Registry Expiry Date : 레지스트리 만료일

 

Domain Status : 도메인 상태

 

Name Server : 네임 서버

 

DNSSEC : DNS 보안성 확장

 

 

 

 

 

 

 

 

 

 

반응형

+ Recent posts